전기철도안전관리자 역할과 취득방법
전기철도가 운행되는 구간의 선로 상부에는 전기철도에 전기를 공급해 주는 전차선로가 설치되어 있으며
전차선에는 고압전류(25,000V)가 흐르고 있습니다.
따라서 전차선로 근접하거나 전차선을 지장시킬 우려가 있는 철도보호지구 내 작업에는
전기철도안전관리자를 배치하여야 합니다.
{ 전기철도안전관리자란? }
전기철도 운행구간의 철도보호지구 내에서 전기, 토목, 궤도, 건축 공사 등의 행위를 시행할 시에
전기철도 충전선로에 근접하여 작업하거나 지장이 되는 작업으로 예상되어 급·단전이 필요한 작업을 시행할 경우에
배치하여 관계부서협의를 시행하고, 작업자의 안전교육 및 전기시설물 보호 등의 안전관리 업무를 시행하는
철도안전전문기술자를 말합니다.
{ 전기철도안전관리자 자격기준 }
당해 공사 전기철도안전관리자 수행 필요일수에 따라 자격기준이 다릅니다.
- 필요일수 30일 이하
당해 공사 전기철도안전관리자 수행 필요일 수가 30일 이하인 경우 ‘전기분야 기능사 이상 또는
전기 관련학과 고등학교 졸업 이상의 자’로서 ‘3년 이상 전기 업무를 수행’하고 철도안전 전문기관에서
시행하는 직무전문교육을 8시간 이상 이수한 자를 배치하여야 합니다.
- 필요일수 30일 초과
당해 공사 전기철도안전관리자 수행 필요일 수가 30일 초과인 경우 ‘전기분야 기능사 이상 또는
전기 관련학과 고등학교 졸업 이상의 자’로 ‘5년 이상 전기 업무를 수행’하고 철도안전 전문기관에서
시행하는 직무전문교육을 8시간 이상 이수하고, 철도안전법시행령 제59조의 “전기철도분야 철도안전전문기술자”
초급자격 이상인 자로 최근 5년 이내 해당 기술분야에서 종사한 경력이 있는 자를 배치하여야 합니다.
또는 철도안전법시행령 제59조의 “전기철도분야 철도안전전문기술자” 초급자격 이상인 자로 최근 5년 이내
해당 기술분야에서 종사한 경력이 없는 경우 철도안전 전문기관에서 시행하는 교육을 8시간 이상
이수한 자를 배치하야여 합니다.
{ 전기철도안전관리자 취득방법 }
한국전기철도기술협회 홈페이지(http://www.kreta.kr)에 접속하여 전기철도안전관리자 교육과정
신규 교육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신청서 작성 시 자격증, 경력확인서 등 관련서류를 잘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교육 신청 시 ‘직무전문교육’을 시행하여 수료할 경우 전기철도안전관리자 업무수행이 가능합니다.
그러나, 교육신청 시 기재내용이 미비하거나 허위사실이 있을 경우 교육에서 제외될 수 있으며
교육 종료 이후에도 동일합니다.
{ 전기철도안전관리자의 역할 }
작업 시 전차선의 급·단전상태를 확인하여야 합니다. 또한, 작업자의 감전사고 예방 및
전기안전 위험요인 감시하고 통제하여야 하며, 전차선 인접상태에서 시행되는 근접한 작업의
안전관리를 시행하여야 합니다.
{ 전기철도안전관리자의 임무 및 업무요령 }
전기철도안전관리자는 전차선로 및 배전선로 인접상태에서 시행되는 근접작업의 안전관리를 시행하여야 합니다.
작업 시행 전 전차선 급·단전협의를 시행하여야 합니다. 운전명령 및 선로작업계획를 사전 확인하여
철관제센터와 협의 후 협의하여야 합니다.
작업승인 전까지 위험지역 밖에서 안전활동을 시행하여야 합니다. 해당 공사현장 작업자, 차량, 기계장치 취급자에
대한 안전교육을 시행하고, 작업 승인시간에 철도교통관제센터와 전차선로 및 배전선로 급ㆍ단전 협의를 시행하고
승인을 득합니다.
단전작업 승인 후 전차선로 및 배전선로 단전 확인하고 작업현장에 단전사항을 통보합니다.
또한, 전차선로에 접지걸이 설치 후 작업책임자 통보하여 작업을 시행합니다.
작업 중 작업원 감전사고 예방 및 전기시설물 위험요인 감시·통제하며 전차선로 및 배전선로 시설물 확인
및 이례사항 발생시 관계기관에 즉시 통보 하여야 합니다.
작업완료 시 작업책임자로부터 작업 완료 여부 확인받고, 장비 및 작업원 안전한 장소로 철수 확인 후
접지걸이 철거하고, 관제사에게 작업종료를 통보합니다.
연관 글 링크 ▼
https://go77887788.tistory.com/5
가장 처음 열차를 보는 사람 열차감시원
철도보호지구 작업을 시행할 경우 필요시 열차감시원을 배치해야 합니다. 철도보호지구 내 작업 시행 시 열차운행에 우려가 있을 경우 작업 중 열차의 접근을 인지하지 못하고 계속 작업을 시
go77887788.tistory.com
https://go77887788.tistory.com/3
철도운행안전관리자 역할 및 업무요령
철도차량의 운행선로 또는 그 인근에서 철도시설의 건설 또는 관리와 관련된 작업을 시행하거나 철도차량의 운행에 지장이 될 우려가 될 만한 공사를 시행하는 경우 철도운영자 등은 해당 공사
go77887788.tistory.com